6월 수출 소폭 증가 했다는 소식입니다.
한국의 수출이 지난 8개월 연속으로 감소한 후, 이번 달 1~10일간 조금 증가했습니다. 반도체 수출이 감소한 것도 줄어들어 수출 회복이 기대됩니다. 그러나 수입액이 여전히 수출액을 웃도는 만큼, 16개월 연속으로 무역적자가 발생할 가능성이 큽니다.
12일 관세청에 따르면, 이번 달 1~10일간의 수출액은 152억 7,100만 달러로, 1년 전 같은 기간보다 1.2% 증가했습니다. 월간 수출액은 지난해 10월부터 올해 5월까지 8개월 연속으로 감소했습니다.
수입액은 20.7% 감소했지만, 수입 규모가 수출액을 넘어서기 때문에 14억1,000만 달러의 무역적자를 기록했습니다. 그러나 수출이 늘어난 덕분에 무역적자 규모는 지난달 같은 기간(41억 7,100만 달러 적자) 보다 크게 줄었습니다. 연간 누적 무역적자는 288억 4,700만 달러로, 지난해 적자 규모(477억 8,500만 달러)의 60.4% 수준입니다.
수출 소폭 증가 품목별 살펴보기
품목별로 살펴보면, 승용차(137.1%)와 선박(161.5%), 자동차 부품(16.9%)의 수출이 증가했지만 반도체(-31.1%)와 석유제품(-35.8%)의 수출은 여전히 감소하는 모습을 보입니다.
- 승용차 137.1% 증가
- 선박 161.5% 증가
- 자동차 부품 16.9% 증가
- 반도체 -31.1% 감소
- 석유제품 -35.8% 감소
최대 수출 품목인 반도체 수출 감소폭이 점차 줄어들고 있는 것은 수출 부진 우려를 누그러트리는 요인입니다. 실제 반도체 수출 감소폭은 4월 41.0%에서 5월 36.2%, 6월 1~10일 31.1%로 줄어들고 있습니다.
또 다른 마이너스 수출의 원인인 대중 무역 위축도 서서히 해소되는 분위기입니다. 대중 수출액 감소폭 역시 4월 26.5%→5월 20.8%→6월 1~10일 10.9%를 기록하여, 부진의 늪에서 벗어날 준비를 하고 있습니다.
앞서 8일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관훈 클럽 초청 토론회에서 “무역적자 폭이 계속 줄고 있기 때문에 4분기쯤에는 흑자로 전환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사회초년생을 위한 경제, 일상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김민재 이적 상황, 맨유 말고 뮌헨 이적설 진짜인가? (0) | 2023.06.16 |
---|---|
크롬 브라우저 단축키 (맥북 버전) (0) | 2023.06.13 |
워드프로세서 자격증 간단 조회 및 발급 방법 알아보기 (0) | 2023.06.11 |
만 나이 통일법 시행일, 만 나이 계산법 총정리 (0) | 2023.06.09 |
대성인라이브, 강대모의고사K 장점 수강인원 오픈날짜 이벤트 총정리! (0) | 2023.06.08 |